[사회] ‘반지하 참사 없도록’…서울시, 침수우려 반지하 집중관리

본문

17203296483121.jpg

본격적인 장마철을 앞둔 지난달 28일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반지하 세대 창문에 수해예방용 물막이판이 설치돼 있다. 뉴스1

서울시가 장마철을 맞아 집중호우시 침수가 우려되는 1만5000여 가구를 8일부터 열흘간 집중 관리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건축사 300여명을 투입해 침수방지ㆍ피난 시설 설치 및 정상작동 여부를 긴급 점검한다고 7일 밝혔다.

서울시는 반지하 주거 가구 규모를 23만여 가구로 본다. 이 중에서 침수 우려가 있어 방지시설 설치가 필요한 가구 수는 약 2만8000여 가구다. 그 중 침수방지시설 설치에 동의한 가구를 대상으로 차수시설(1만5259가구), 피난시설(5108가구)을 설치했다. 하지만 침수방지시설 설치에 동의하지 않은 반지하 가구에는 관련 시설을 설치하지 못했다.

서울시는 이번 점검을 통해 반지하 가구에 설치된 물막이판 등의 침수방지시설, 개폐형 방범창과 피난사다리와 같은 피난시설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점감할 예정이다. 또  침수방지시설 설치가 필요한 곳에는 설치를 지원하고, 침수 위험 반지하에 거주하는 가구가 원할 경우에는 장마철 동안 공공임대주택으로 임시 이주를 지원한다. 시는 현재 반지하 거주 가구가 임시로 지낼 수 있는 공공임대주택 350여 세대를 확보한 상태다. 이후에는 주거 상향으로 이어지도록 돕는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2년간 반지하 가구 1.2% 매입

17203296484475.jpg

2022년 8월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관악구 신림동 침수 피해 현장을 방문, 현장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022년 8월 서울에 쏟아진 집중호우로 관악구 신림동 반지하에 거주하는 세 모녀가 목숨을 잃는 등 침수 피해가 컸다. 이후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하ㆍ반지하 주택은 안전ㆍ주거환경 측면에서 주거 취약 계층을 위협하는 후진적 주거유형”이라며 “시민 안전을 지키고 주거 안정을 제공하기 위해서 지하ㆍ반지하 주택은 사라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윽고 서울시는 ‘지하ㆍ반지하 거주 가구를 위한 안전대책’을 발표하고, 지하층을 주거용으로 허가하지 않고 기존 반지하 주택은 시가 매입하거나 정비사업을 통해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서울시는 지난해 2080가구, 올해 6월 말 기준으로 638가구 등 반지하가 포함된 건물 2718가구를 매입했다. 전체 반지하 가구 수의 1.2% 수준이다. 서울시는 “올해 6월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 지하층에 거실을 설치할 수 없도록 건축법 시행령이 개정됐다”며 “정비사업, 일반 건축허가 제한 등을 통해 반지하 주택이 사라지는 추세이며 앞으로 10년간 반지하 주택 약 15만 가구가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56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