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안기종 대표 “환자를 정부 압박도구로…의료계에 화났다”

본문

17203696858919.jpg

안기종

“(경증과 중증 사이인) 중등증 환자들이 불안을 너무 오래 참았습니다. 의료계가 환자 불안을 도구로 정부를 압박하려는 것에 환자들이 화가 난 상황입니다.”

지난 4일 대규모 환자단체 집회를 주최한 한국환자단체연합회의 안기종(사진) 대표가 밝힌 집회 성사 배경이다. 의·정 갈등에 따른 의료공백이 5개월째 이어지는 가운데, 서울 보신각 앞에서 열린 이 집회에는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한국환자단체연합회·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등 주최 측 추산 400여명이 참석했다. 수천 명이 곧잘 모이는 의사단체 집회와 비교하면 적은 인원이지만, 환자단체 역사로 보면 ‘이례적인’ 규모였다.

안 대표는 2001년 아내가 백혈병을 진단받은 것을 계기로 환자단체 활동을 시작해 20년 넘게 이어오고 있다. 자신도 갑상샘암 수술을 받았다. 그런 안 대표에게도 이날 집회는 감회가 남달랐다. 그는 7일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환자들은 혹시라도 치료받는 데 불이익이 생길까 싶어 의사나 정부를 향해 항의하는 데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며 “그동안은 집회를 해도 50명 이상 모인 적이 없었는데, 이번엔 400여명이 모였다. 그만큼 의료공백 사태가 환자 생명과 직결된 문제가 됐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안 대표는 특히 중등증 환자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4일 집회에서도 “중증 환자와 그 아래 중등증 환자의 경계를 나누는 건 ‘칼로 물 베기’”라며 대형병원 교수들이 휴진을 멈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계속 검사하면서 추적 관찰해야 하는 환자들의 검사·수술이 많이 지연되고 있다”면서 “이런 중등증 환자들로서는 중증으로 악화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크다”고 말했다.

하지만 산전수전 다 겪은 안 대표에게도 의료공백 사태는 풀기 어려운 ‘난제’로 꼽힌다. 병원을 떠난 전공의 등이 전혀 움직이지 않고 있어서다. 그는 “무작정 기다리기보다는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근본적인 의료 체계 변화를 위해, 정부·의료계뿐 아니라 국회의 역할도 크다고 강조했다. 환자단체들은 이번 집회에서 의료인 집단행동 시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를 중단 없이 제공할 수 있는 ‘집단행동 재발방지법’을 3대 요구 사항으로 제시했다. 안 대표는 대한의사협회(의협) 등이 정부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 참여를 거부하고 있는 것에 대해선 “이러면 의료계만 손해”라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65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