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불붙은 집값에 컴백한 영끌족…주담대 증가의 40%는 2030

본문

17246663610558.jpg

한 시중은행 대출 창구 모습. [연합뉴스]〈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맞벌이 부부인 장모(31)씨는 올해 초 서울 성동구 A아파트를 9억원에 매수했다. 집값의 70% 정도인 6억원을 30년 만기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과 신용 대출로 마련했다. 매달 원금과 이자를 합해 300만원을 빚 갚는 데 쓴다. 장씨는 “이 시기를 놓치면 (집값이 더 올라) 서울에서 아파트 살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불안에 집을 샀다"고 말했다.

지난 정부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로 집값 상승을 견인했던 ‘2030 영끌족’이 돌아오는 분위기다. 26일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받은 자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국민ㆍ신한ㆍ우리ㆍ하나은행)의 주택담보대출액(잔액 기준)은 6월 말 기준 449조3000억원이다. 1년 전보다 32조9000억원 불어났다. 직전 1년(2022년 6월 말~2023년 6월 말)간 주담대 잔액이 2조8000억원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증가 속도가 두드러진다.

17246663611951.jpg

정근영 디자이너

대출 증가 속도가 가속페달을 밟은 건 한동안 사그라들었던 20·30세대의 ‘영끌’이 되살아나면서다. 청년들(20·30세대)이 4대 시중은행에서 빌린 주담대 잔액은 6월 말 기준 140조8000억원으로 전체 연령대 가운데 가장 많다. 최근 1년 동안 12조8000억원 늘어난 영향이 크다. 전체 대출 증가 폭(32조9000억원)의 38.9%를 차지한다. 증가 폭을 연령대별로 살펴봐도 2030세대가 1위다. 뒤를 이어 40대(8조1000억원), 50대(6조8000억원), 60세 이상(5조3000억원) 순이었다.

주택 매입 시장에서도 20·30세대의 영향력이 다시 커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20·30세대가 산 서울 아파트 건수는 8617건이다. 지난해 상반기(6361건)보다 35.5% 급증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상반기 전체 매입 건수(2만4775건) 가운데 34.8%를 차지한다. 다음으로 7724건 매입한 40대(31.1%)가 많았다. 50대(4717건)와 60세 이상(3534건)의 매입 비중은 각각 19%와 14%다.

특히 20·30세대는 6월 한 달간 2069건의 서울 아파트를 매입했다. 월별 기준으로 이들의 서울 아파트 매입 건수가 2000건을 넘어선 것은 ‘영끌족’이 급증했던 2021년 8월 이후 처음이다. 실탄(대출)을 채운 청년들이 주택시장에 몰리고 있다는 의미다.

청년층이 영끌로 집을 사려는 건 수도권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게 가장 큰 이유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22주 연속 상승세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소득 증가분보다 집값 상승세가 빨라지면 청년층의 영끌현상이 나타난다”며 “지금이 아니면 서울에서 집 살 타이밍(적기)을 놓칠 수 있다는 불안감이 매수 심리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오락가락한 정책(규제)이 청년층의 영끌에 영향을 줬다고 분석하는 전문가도 많다. 올해 본격적으로 시행한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제도가 대표적이다. 정부는 DSR 2단계 시행을 일주일 앞두고, 시행 시기를 9월로 두 달 연기했다. 대출 규제가 더 강화되기 전 ‘대출 막차’를 타려던 수요를 더 자극했다는 평가를 받는 이유다. 실제 올 상반기 중 6월에 2030세대의 대출 증가폭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부의 대책이 엇박자가 나면 (소비자는) 자칫 집값이 더 오를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하고, DSR 정책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며 “가계의 건전성과 관련된 가계부채 대책은 일관성 있게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차규근 의원은 “방향을 잃은 관치금융이 청년층의 부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금융의 원칙을 바로 세워야 할 때”라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6,27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