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싱크홀 발생한 연희동 일대 전수조사…지반침하 사고 64%, 상하수관이 원인

본문

17254332447074.jpg

29일 서울 서대문구 성산대교 방면 성산로에서 땅꺼짐 현상(싱크홀)이 발생해 경찰 과학수사대 대원들이 현장감식을 실시하고 있다. 뉴스1

서울시가 지반침하(땅꺼짐) 예방을 위한 개선안을 4일 발표했다. 지난달 29일 서대문구 연희동 성산로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 관련 후속 조치다. 하지만 성산로 사고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서울시는 “복합적인 요인으로 지하에 공동이 발생했고, 결국 도로 하부 토사가 일부 유실돼 포장면이 파괴된 것으로 전문가들이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복합적인 요인으로 사고구간이 경사지 중간이라는 지형적 특성, 최근 폭우ㆍ폭염으로 인한 지하수위 변화, 폐하수관을 비롯해 노후한 지하매설물, 인근 공사장 등이 꼽혔다. 하지만 이 중에서 사천 빗물펌프장 공사로 인한 직접적인 원인은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이 서울시 견해다. 시는 명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 공사 구역 내 진동계와 지하수위계를 설치하는 등 추가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 연희동 사고 지역 일대를 특별 점검 대상 지역으로 지정해, 지하 매설물을 전수조사하겠다는 방침이다.

17254332448482.jpg

김경진 기자

서울시는 또 지반침하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30년 이상 된 노후 상하수관로 정비에 들어간다. 시는 2015년부터 지난 1일까지 서울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 222건 중에서 상ㆍ하수관로에 의한 사고가 64%에 달한다고 밝혔다. 특히 낡은 하수관로가 터져 흙이 관 안으로 유입돼 하수와 함께 흘러가다 지반침하가 일어나는 게 111건으로 가장 많았다. 현재 서울시 상ㆍ하수관로 중 30년 이상 된 하수관로는 6019㎞(55.6%), 상수관로는 4811㎞(36%)에 달한다. 서울시는 9월부터 30년이 넘은 모든 하수관로에 폐쇄회로(CC)TV가 장착된 내시경 카메라를 활용해 정밀히 조사할 방침이다. 또 연차별 계획을 세워 노후한 상·하수관로를 정비할 계획이다.

굴착 깊이 10m 이상의 공사장 주변 안전 관리도 강화한다. 기존에는 굴착 공사장에 대해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한 뒤 필요하면 추가로 했지만, 앞으로는 준공 1년 이내 공사장을 대상으로 월 1회 GPR 탐사를 한다. 올해 기준으로 서울 200여 개 공사장이 대상이다.

17254332449913.jpg

서울 도심에서 잇단 땅꺼짐(싱크홀) 사고가 이어지고 있는 3일 서울 중구 청계광장 인근에서 서울시 재난안전실 도로관리과 직원들이 땅꺼짐 탐사대 차량에 실린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뉴스1

지하 2m까지 레이더로 볼 수 있어 예방 한계
하지만 현재 기술력으로 지반침하를 예방하기까지 한계가 많다는 지적도 나온다. 주요 예방책인 GPR 탐사가 지하 2m 정도까지만 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반침하가 일어난 성산로만 해도 지난 5월 GPR 탐사를 했지만, 특이사항이 발견되지 않았다가 3개월 만에 사고가 났다. 서울시 관계자는 “점차 도시 관리가 어려워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GPR 장비로 찾기 어려운 지반침하 이상 징후를 찾아내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도입해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8,28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