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The Butter] 사회혁신 연구 중인 OECD, 한국에 주목하다

본문

장희수 OECD 사회적경제 및 사회혁신부 연구원

17285087865193.jpg

장희수 OECD 연구원은 “최근 유럽에서는 지역사회에 기반을 두고 지역경제에 기여하는 사회적경제조직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용재 더버터 기자

지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아시아 ‘열공’ 중이다. 가입한 38개국 가운데 아시아 국가는 한국과 일본, 두 곳에 불과하지만, 사회혁신 분야에서 강점을 보인다는 이유에서다.

장희수 OECD 사회적경제 및 사회혁신부 연구원은 지난 2022년 OECD의 ‘사회적경제 및 사회혁신 권고안’ 채택 이후 국제사회 분위기가 달라졌다고 말했다. 그는 “태국과 인도네시아가 OECD 가입 절차를 밟으면서 기존 회원국인 한국과 일본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며 “사회적경제와 사회혁신 분야에서 아시아가 결코 유럽보다 뒤떨어지지 않고 또 활발한 시장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사회적경제와 사회혁신은 자주 쓰이는 용어인데도 정확한 개념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OECD에서 어떻게 정의하고 구분하나.
“사회적경제 속에서 조직 형태는 다양하다. 협동조합·사단법인·재단법인·사회적기업·소셜벤처·임팩트스타트업. 이 모든 조직의 활동을 사회적경제라고 본다. 이들을 아우르는 특정 단어를 찾기보다 이들 조직이 갖는 공통적인 성질이 중요하다. 사회적·환경적 목적을 우선시하고, 연대의 가치에 공감하고, 자본보다는 사람을 중요시하는 조직이라는 점. 또 민주적 절차와 참여로 운영되는 조직이라는 공통점이다. 사회혁신은 사회적경제를 활성화하는 권고 사항 중 하나다. 사회혁신의 정의에는 여러 요소가 있지만 특히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협업에 기반을 둔 새로운 솔루션이라는 점이다.”
OECD의 정의로는 사회적경제의 범위가 너무 넓어진다.
“한국은 딱 잘라 정의하려고 하는데, 유럽에서는 사회적경제라는 용어를 유연하게 쓰는 분위기다. 사회적기업·소셜벤처·협동조합·임팩트스타트업이든 조직 형태만 다르지 결국에는 사회적 요구와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기 위해 존재하는 조직 아니냐는 거다.”
요즘 글로벌 트렌드는 뭐라고 보나.
“유럽 안에서 사회혁신이 주류화하는 무브먼트인 건 확실하고, 이제 전통적인 사회적경제조직이나 비영리조직에만 사회혁신을 바라는 게 아니라 정부·대기업·중소기업 등 다양한 조직들이 사회혁신을 내재화하고 추구하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 사례가 있나.
“덴마크에 ‘직업교육 프로젝트(Vocational Training Project)’는 고용의 주체인 기업들의 의견을 직업교육에 어떻게 더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겠느냐는 근본적인 질문에서 시작됐다. 기존에는 왕래가 잦지 않았던 민간기업과 직업교육을 관할하는 고등학교·대학교 산하의 직업교육기관 등을 한자리에 모아서 의견을 공유하고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변화할 수 있게 했다. 프로그램을 이수하는 학생들의 고용률과 경제 기여가 더 높아지는 걸 사회혁신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사회적기업·협동조합·소셜벤처는 없다. 사회혁신에 조직 형태는 중요하지 않다. 앞서 말한 사례의 핵심은 협업 기반 프로젝트라는 것이다.”
누구나 협력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뜻인가.
“구분이 없어지는 추세다. 다만 최근 트렌드 분석에 따르면, 유럽에서 사회문제 해결 주체로 전통적인 협동조합이 다시 강세다.”
이유가 있나.
“고령화 이슈가 한국에서만 심각한 것이 아니다. OECD 38개국 중 22개국이 고령화 상위 국가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밖에 기후변화나 복지시스템에 한계점이 드러나면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협동조합이 다시 힘을 받고 있다. 과거에는 출신 배경이 같은 집단이 모여 형성한 협동조합이 많았는데, 요즘은 좀 더 포괄적이고 거시적인 이슈를 다루는 협동조합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의 협동조합도 각광받을 수 있을까.
“한국에서는 협동조합이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OECD에서는 한국 사례를 많이 소개하는 편이다. 특히 한국의 사회적협동조합이 유럽인들의 관점에서 임팩트가 크고, 트렌드와 부합한다고 여긴다. 사회적협동조합 사례로 이탈리아·캐나다·스페인, 그리고 한국이 꼭 들어간다.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 다만 한국은 정치적 진영 논리에 따라 협동조합의 임팩트가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 안타까운 지점이다. 이제는 임팩트에 초점을 맞추고 발전시켜야 한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45,11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