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마흔다섯’ 포항제철소 1선재공장, 중국 저가공세 못 이기고 셧다운
-
1회 연결
본문
포항제철소 1선재공장이 45년 9개월간의 가동을 마치고 문을 닫았다. 생산 설비가 노후화한 데다가, 글로벌 철강공급 과잉, 중국 등의 저가 공세를 견디지 못해서다.
19일 포스코는 포항제철소 1선재공장을 이날부로 셧다운 한다고 밝혔다. 지난 7월 포항 1제강공장(쇳물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성분 조정하는 공정)에 이은 두 번째 셧다운이다. 선재(線材)는 철사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철강 제품을 의미한다.
1979년 2월 가동을 시작한 1선재공장은 두 차례 합리화를 거쳤고, 누적 2800만t을 생산했다. 이곳에서 생산된 제품은 산업화시대 건설 수요가 급팽창하던 당시 못·나사의 재료로 쓰였고, 이후엔 타이어코드·비드와이어 등 자동차 고강도 타이어 보강재로 활용됐다.
폐쇄에 이른 결정타는 중국의 저가공세다. 지난해 글로벌 선재 시장의 생산능력은 2억t에 이르지만, 실제 수요는 9000만t에 불과했다. 한 예로 1억4000만t의 생산능력을 보유한 중국 선재밀의 경우 내수 건설경기 부진으로 수요가 줄었지만, 생산량을 유지하려다 보니 주변 국가에 저가 밀어내기를 이어나갔다. 결국 선재가격이 하락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포스코는 1선재공장을 폐쇄하며 품질과 관계없는 저가 선재의 시장 공급도 축소하기로 했다.
다만 이곳에서 생산하던 고강도 타이어코드, 선박 및 자동차용 용접봉 등은 포항 2~4선재공장에서 전환 생산할 계획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향후 저가재 등 가격 중심으로 경쟁하는 시장의 비중을 축소하고 자동차용 고강도 볼트(CHQ), 스프링강, 베어링강 등 고부가가치 선재 제품 중심으로 역량을 집중해 생산·판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포스코는 그룹 차원의 저수익 사업 및 비핵심 자산에 대한 구조개편 작업을 진행하면서, 저수익 사업으로 분류된 중국 장쑤성(江蘇省)의 장가항포항불수강 제철소 매각을 검토중이다. 국내 2위 철강회사인 현대제철도 경북 포항 2공장 폐쇄를 검토중이다.
내년엔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한다는 점도 철강업계의 부담이다.
미국은 한국 철강 제품 수출량의 약 10%를 차지하는 상대국가인데, 트럼프 집권 1기 때인 2018년 철강 쿼터(무관세 수입량) 제한 조치로 국내 철강업체들이 타격을 입었다. 2017년까지 연평균 383만t이던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량은 2018년 조치로 2021년 200만t대로 줄었다. 현재 미국에 관세 없이 수출할 수 있는 한국산 철강 제품 상한은 263만t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