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안팎 혼란한 지금, 명심보감 읽을때”
-
1회 연결
본문
“천자가 참으면 나라에 해가 없고, 제후가 참으면 더 큰 나라를 이룬다.” 화를 참으라는 내용이 주로 담긴 『명심보감(明心寶鑑)』 8장 계성(戒性)편에 실린 공자님 말씀이다. 이런 구절은 어떤가. “얻지 말아야 할 것을 얻은 것보다 더 짧게 가는 것은 없고, 제 능력을 믿고 오만한 자보다 더 외로운 사람은 없다.” 바른 몸가짐을 논한 5장 정기(正己)편에 실린 글이다. 최근 『명심보감(明心寶鑑)』 완역본(민음사)을 출간한 안대회(63) 성균관대 한문학과 교수가 혼란스러운 현 시국을 촉발한 ‘그’에게 들려주고 싶다고 꼽은 문장들이다.
원나라 말~명나라 초기 학자 범입본(范立本)이 쓴 『명심보감』은 『논어』 『맹자』 등 160여 종에 달하는 문헌에서 발췌한 격언과 세간에 떠도는 속담 등을 수록한 일종의 잠언집이다. 조선 시대엔 남녀노소가 읽는 필독서였고, 현재도 200여 종 넘게 나와 있는 ‘고전 중의 고전’이다. 하지만 그간 출간된 대부분의 책은 일부 내용만 뽑은 발췌본에다 해석도 제각각이었다.
『채근담』 『북학의』 등 다양한 고전 완역을 해온 안 교수는 지난 5년간 모든 판본의 『명심보감』을 비교하며 원저에 실린 20개 장, 774개 글 모두를 새롭게 번역해 해설을 붙였다. 지난 19일 서울 성균관대에서 만난 안 교수는 “처음엔 너무 대중적인 책이라 나까지 발을 들여놓을 필요가 있을까 싶었지만, 읽다 보니 ‘이거 정말 재미있다’는 느낌이 왔다”고 했다.
- 어떤 점이 재밌었나.
- “600년 전에 씌어진 글임에도 현대인의 삶에 유용한 격언이 정말 많았다. 게다가 중국, 한국은 물론 일본·베트남·태국 등 아시아 전체의 베스트셀러인데 연구가 거의 안 되어 있었다. 본국인 중국에서도 거의 사라졌다가 한국 드라마 ‘대장금’, ‘별에서 온 그대’ 등에 『명심보감』이 등장하면서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다.”
- 중국에서 잊혀진 책이 된 이유는.
- “저자 범입본은 당대 지식인 네트워크에 속하지 못한 인물이다. 엄청난 독서를 한 ‘재야의 천재’였던 것 같다. 그러다 보니 대중적으로 큰 성공을 거뒀지만 정식 학계에선 ‘내용이 통속적이다, 수준이 낮다’며 가치를 무시했고 차츰 잊혀졌다.”
- 고려 문신 추적(秋適·1246~1317)을 저자로 알고 있는 이들도 많은데.
- “조선시대 시중에 떠돌던 책엔 저자 이름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 19세기 초반 대구에 있는 추씨 가문이 보관하던 책에 자신들의 선조인 추적을 저자로 써 넣은 것이 시작이었다. 1959년 정부 주도로 『국역증보명심보감』이 편찬됐는데, 이 책에서 추적을 저자로 표기하는 바람에 잘못된 정보가 퍼져나갔다.”
- 지금도 읽을 만한 가치가 있을까.
- “여성들에게 ‘삼종지도(三從之道·어려서는 아버지를 따르고, 결혼하면 남편을 따르고, 남편이 죽으면 아들을 따른다)’를 강조한 20장 부행(婦行)편 은 구시대 유물로 폐기해도 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여전히 유효한 구절이 많다. 선행을 강조하는 동시에 생활 속 처세를 알려주는 심리학책, 자기계발서 성격이 짙다. 예를 들어 11장 성심(省心)편에선 ‘복이 있다고 남김없이 누리지 말고, 세력이 있다고 끝까지 써먹지 말라’고 한다. 힘도 복도 아껴 남에게 베풀어야 행복해진다는 의미다.”
안 교수는 “지금과 같이 안팎이 어려운 때야말로 인류 보편의 윤리가 담긴 『명심보감』을 다시 읽어야 할 때”라고 했다. 특히 정치인들에게는 지도자의 몸가짐을 다룬 치정(治政)편, 마음 다스리기를 강조한 성심편 등을 권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