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무관세’ 보고 멕시코 갔는데…한국기업 500여곳 날벼락

본문

트럼프 ‘25% 관세’ 딜레마

미국 트럼프 새 행정부가 멕시코산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멕시코 직접투자에 나선 한국 기업에 ‘경보음’이 울렸다. 이런 가운데 정부도 민관 합동회의를 여는 등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박종원 통상차관보 주재로 ‘미국 신행정부 대(對)멕시코 통상정책 관련 민관 합동 대응회의’를 열었다. 멕시코에 진출한 완성차·자동차부품·가전·철강 등 분야 기업 관계자가 참석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한 당일인 지난 20일(현지시간)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해 “(25% 관세를) 올해 2월 1일에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조치가 멕시코 현지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자 정부가 대응 방안 논의에 들어갔다.

멕시코 경제부 발표에 따르면 2023년 한국의 대멕시코 외국인 직접투자(FDI) 규모는 멕시코 진출 국가 중 11위(5억400만 달러)에 올라있다. 산업부 집계 결과를 보면 지난해 상반기 기준 멕시코 투자 실적이 있는 국내 기업은 525개에 달한다. 이 중 제조업이 300여 개(폐업 등 포함)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대멕시코 투자가 늘었던 것은 최종 소비시장(미국)과 가까운 곳으로 생산 거점을 옮기는 ‘니어쇼어링’ 전략의 영향이다. 산업부는 “2021년 이후 미·중 갈등이 심화하면서 멕시코가 니어쇼어링 핵심 지역으로 부상했다”고 설명했다.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과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관세와 보조금 혜택도 투자를 늘린 요인이다. 멕시코는 저임금과 지리적 이점 등으로 생산 비용까지 저렴하다. 멕시코시티 무역관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LCD·LED 등을, LG전자는 TV·냉장고·오븐 등을 멕시코에서 생산하고 있다. 기아·포스코 등도 자동차과 철강재를 생산하는 현지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현대모비스·LS오토모티브  등의 자동차부품 생산 공장도 있다.

하지만 실제 25% 관세가 부과되면 현지 진출 기업에 원가 상승 압박이 가중될 전망이다. 이에 현지 투자 기업도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삼성전자·LG전자 등은 멕시코 생산 물량을 미국·한국을 포함해 다양한 생산기지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장상식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실제 관세 부과가 되고, 이것이 장기화할 경우 미국 내 공장에 자동화 설비를 갖춘 기업들은 미국에서의 생산을 늘릴 것”이라며 “그렇지 않은 기업들은 멕시코 공장을 중남미 등 다른 국가 수출기지로 전환하는 식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다만 트럼프 정부의 멕시코·캐나다를 향한 관세 폭탄 압박이 USMCA 재협상을 위한 사전 포석이라는 해석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부과한 이유를 두고 표면적으로는 불법 이민과 펜타닐 등 마약 유입 방지에 노력하지 않는다는 점을 들었다. 하지만 월스트리트저널은 “USMCA는 2026년 재검토가 예정돼 있지만, 트럼프는 더 빨리 재협상하기를 원한다”며 “트럼프는 관세 위협을 통해 자동차 공장을 캐나다·멕시코에서 다시 미국으로 옮기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전했다.

산업부 관계자도 “멕시코에 진출한 기업들은 공장 이전 등 대응책을 나름대로 검토하면서도 일단 상황을 좀 더 지켜보자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다만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만약 별다른 협상 없이 다음 달 1일 예고대로 관세가 부과된다면 ‘트럼프 허니문 랠리’가 ‘트럼프 리스크’로 전환되는 것”이라고 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95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