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뉴욕∙도쿄 예외 없었다…세계 대도시 '쥐떼' 폭발적 증가 이유

본문

17384124689949.jpg

지난해 5월 10일 러시아에서 포착된 들쥐. 타스=연합뉴스

지구 온난화 영향으로 겨울이 따뜻해지면서 주요 대도시들에서 쥐떼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이러한 추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는 이런 내용을 담은 조너선 리처드슨 미국 리치먼드대 교수 등의 연구논문이 실렸다.

연구 대상 도시는 미국 도시 13곳과 캐나다 토론토,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일본 도쿄 등 총 16곳이다. 이 도시들은 쥐 목격 신고나 쥐 방제 건수 등 관련 자료를 평상시에 공개하고 있거나 연구자들이 요청하면 집계해 제공한 곳들이다. 런던과 파리 등 상당수 주요 대도시는 이런 자료를 아예 제공하지 않아 연구 대상에서 빠졌다.

제1저자 겸 교신저자인 리처드슨 교수는 "다른 곳에서는 상황이 다를 것이라고 생각할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연구 대상 도시 중 최근 10년간 쥐가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워싱턴DC로 증가율이 390%에 달했다. 샌프란시스코(300%), 캐나다 토론토(186%), 뉴욕(162%) 등도 쥐가 많이 증가했다.

조사 대상 도시 16곳 중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오클랜드, 버팔로, 시카고, 보스턴, 캔자스시티, 신시내티 등 11곳에서 쥐의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늘었다. 댈러스와 세인트루이스 등 2곳은 각각 소폭 증가하고 감소했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는 없었다. 뉴올리언스, 루이빌, 도쿄 등 3곳에서는 감소했다.

분석 결과 연구 대상 도시들의 쥐 증가 추세에서 기온 상승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40%였다. 또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일수록, 녹지공간이 적은 도시일수록 쥐떼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리처드슨 교수는 영국 일간 가디언을 통해 "대세와 반대로 쥐의 수가 감소한 도시 3곳 중 감소 폭이 가장 큰 뉴올리언스에서는 쥐 창궐을 방지하는 요령에 대한 교육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도쿄에서 쥐가 감소한 점은 "문화적 규범과 청결함에 대한 기대가 높아 사람들이 쥐를 발견하면 곧바로 신고를 하는 경향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는 추측도 내놨다.

쓰레기봉투가 찢어진 채 방치되거나 쓰레기 수거함의 뚜껑이 안 닫혀 있는 등 쓰레기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도시에서는 쥐들이 날마다 포식을 한다고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지적했다.

많은 도시는 쥐떼를 상대로 '전쟁'을 선포했으나 쥐떼의 창궐을 막지는 못하고 있다.

워싱턴DC는 시 차원에서 부동산 관리자들과 사설 방제업체 직원들에게 쥐잡기를 교육하고 있다. 개 주인들의 협조를 얻어 개가 쥐를 잡도록 시키기도 한다. 에릭 애덤스 뉴욕 시장은 '설치류 피해 감소 책임자'를 모집하는 공고를 내기도 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02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