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EV6 145→60만원 대폭 삭감…서울, 전기차 보조금 줄인 이유
-
3회 연결
본문
서울시가 올해 전기차 보조금 지원금을 대폭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버스·화물차의 전기차 전환에 무게를 싣기 위한 정책적 결정이지만 전기승용차 수요 정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서울시가 지난달 31일 공개한 ‘2025년 전기차 모델별 보조금 현황’에 따르면 서울시의 지자체 보조금을 가장 많이 받는 모델은 기아 ‘EV6’ (롱레인지 2WD 19인치)로 총 60만원을 지원 받는다. 이는 지난해 서울시가 지급한 지자체 보조금의 41% 수준에 그치는 액수다. 지난해 같은 모델 차량을 구입한 소비자는 서울시로부터 지자체 보조금으로 145만원을 받았다.
이에 따라 해당 차량에 대한 국고·지자체 보조금 총액도 지난해 829만원(국고 684만원+지자체 145만원)에서 올해 670만원(국고 610만원+지자체 60만원)으로 159만원 줄었다. 판매량이 꾸준한 기아 EV3(롱레인지)도 143만→57만6000원으로, 레이 EV는 104만→45만6000원으로 지자체 보조금이 대폭 줄었다.
테슬라 모델3 역시 지자체 보조금이 줄기는 마찬가지다. 모델3 RWD 모델의 경우 지난해는 서울시로부터 지자체 보조금 52만원을 지원받았지만, 올해는 18만원으로 지난해의 3분의 1에 불과하다. 모델3는 배터리·주행거리 등 환경부 기준을 일부 충족하지 못해 국고보조금도 226만→183만원으로 줄었는데, 여기에 지자체 보조금도 줄어 올해 모델3 구매자는 총 201만원까지만 지원받을 수 있다.
지자체 보조금은 국고 보조금에 비례해 책정된다. 하지만 지원 최대액수는 지자체별 전기차 정책에 따라 결정한다. 서울시가 전기승용차 보조금을 줄인 것은 전기 버스·화물차에 대한 지원액을 상대적으로 확대한 것과 무관치 않다. 올해 서울시의 전기화물차(소형 기준) 지자체 보조금은 최대 440만원으로 지난해 400만원보다 10% 늘었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전기버스나 전기화물차를 1대 더 늘리는 게 전기승용차를 1대 더 늘리는 것보다 탄소감축 면에서 더 효과적이다 보니 서울시가 정책적으로 전기 버스·화물차에 집중한 것”이라며 “다만 승용차를 구매하려던 소비자 입장에서는 고심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전기승용차 보조금 지원대수가 올해 기준 4000대로 지자체 중 가장 많은 서울시가 보조금을 삭감하면서 전기차 판매 정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편, 지난달 31일 기준으로 공고된 지자체 보조금 가운데서는 부산이 230만원, 대구·대전이 250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구리가 88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안산 300만원, 수원·용인·동두천이 250만원 순이었다. 지방에서는 전남 곡성이 650만원이었고, 경북 포항이 600만원이었다. 인천·광주 등 일부 광역시는 31일 현재 공고하지 않았다.
각 지자체는 3일부터 신청을 받는다. 전기차를 구입하려면 지자체에 보조금을 신청해 승인을 받은 뒤 자동차 가격에서 국고·지자체 보조금을 제외한 금액을 내게 된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