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트럼프 취임 16일 만에 "탄핵" 나왔다…'가자지구 美…

본문

17387904134578.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에서 팸 본디 법무장관 임명과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저는 비열한 행동을 제안하고 비열한 행동을 한 대통령에 대해 탄핵안을 발의할 것입니다.”
앨 그린 미국 민주당 연방 하원의원은 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밝힌 ‘미국의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소유ㆍ개발 구상’에 대해 “이름만 다른 인종 청소”라고 맹비판하며 이렇게 말했다. 그린 의원은 “인종 청소는 반인륜적 범죄”라며 “저는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제출할 것”이라고 했다. 그린 의원은 과거 트럼프 집권 1기 때인 2017년 트럼프 대통령 탄핵안을 발의한 의원 중 한 명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밝힌 가자지구 개발 구상이 ‘두 국가 해법’(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각각 독립된 영토와 국가를 갖고 평화롭게 공존하는 방안)을 근간으로 하는 중동 질서를 뒤흔들었다는 국내외 비판 속에 큰 후폭풍이 일고 있다. 당장 지난달 20일 대통령 취임 후 16일 만에 의회에서 대통령 탄핵론이 나오는 등 각계 비판이 쏟아졌다.

미 민주당 “인종 청소의 다른 이름”

17387904135999.jpg

앨 그린 미국 민주당 연방 하원의원(텍사스)이 5일(현지시간) 하원 본회의 자유발언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구상’에 대해 “인종 청소의 다른 이름”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그린 의원은 대통령 탄핵안을 발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사진 C-SPAN 캡처

피트 아길라 민주당 연방 하원의원은 이날 의사당 기자회견에서 “가자지구에 미군을 파병한다면 표적이 될 것”이라며 “(트럼프의 구상은) 미국인의 안전을 지키거나 국방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사려 깊은 전략이 아니다”고 비난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반대 입장을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이날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팔레스타인인의 양도할 수 없는 권리 행사 위원회’ 개막 연설에서 트럼프 대통령 구상을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가자지구 해결책 모색 과정에서 문제를 악화시켜서는 안 된다. 어떤 형태의 인종 청소도 방지하는 게 필수적”이라고 했다. 가자 주민 이주론에 대한 반대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해석됐다.

이날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의 언론 브리핑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 개발 구상과 관련된 질문이 집중됐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틀에 박힌 사고방식(an outside of the box thinker)에서 벗어나 많은 이들이 풀 수 없다고 주장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비전 있는 리더”라고 엄호했다.

백악관 “대통령, 군 파병 약속한 적 없다”

17387904137427.jpg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5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언론 브리핑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레빗 대변인은 가자지구 소유ㆍ개발 계획이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외교정책과 어떻게 충돌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저는 미국이 해외 분쟁에 얽히게 된다는 전제를 거부하고 싶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은 가자지구에 군대를 투입하겠다는 약속을 한 적이 없다. 또 미국이 가자지구 재건 비용을 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부연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회견에서 “필요하다면 가자지구에 미군을 보낼 수 있다”며 파병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었다. 관련 질문이 계속되자 레빗 대변인은 “대통령은 미국이 가자지구 안정 보장을 위해 재건 노력에 참여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말했지만 그렇다고 가자지구에서 (미군) 군화가 들어가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했다.

17387904138896.jpg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입은 피해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유엔, 세계식량계획(WFP), 가자 보건부, 이스라엘 당국 등]

레빗 대변인은 이 대목에서 “대통령은 거래와 협상을 할 때 레버리지(지렛대)와 협상을 유지하기 위해 어떤 것도 배제하지 않으려는 훌륭한 분이다. 그래서 지금 그가 그렇게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장악 구상이 ‘협상 전술’의 하나일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됐다.

레빗 대변인은 또 “대통령은 가자지구 재건 및 그곳 사람들의 임시 이주를 약속했다”고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언급한 ‘가자 주민들의 제3지역 영구 이주론’과는 달라진 뉘앙스다.

월츠 “마음에 안 들면 중동서 대안 낼 것”  

17387904140495.jpg

마이크 월츠(오른쪽)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4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취재진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월츠 옆은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중동 특사. AFP=연합뉴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와 국무부에서도 트럼프 대통령 두둔 발언이 이어졌다. 마이크 월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 구상을 “현실적 해결책이 없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내놓은 대담하고 신선하며 새로운 아이디어”라고 감쌌다.

월츠 보좌관은 이날 CBS 인터뷰에서 “대통령의 해결책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중동 지역 전체가 자신들만의 해결책을 내놓을 것”이라며 “대통령 아이디어가 어떤 식으로든 비난받아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가자지구를 사실상 미국이 ‘접수’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 발언이 “새로운 미국 제국주의”(영국 이코노미스트)라는 논란에 휩싸이는 등 파장이 커지자 수습을 시도한 것이다.

월츠 보좌관은 “대통령의 핵심 발언 중 하나는 굶주리고 있고 깨끗한 물을 구할 수 없고 하수시설도 없는 사람들에게 어떤 해결책이 제시됐는지 말해 보라는 것이었다”고 했다. 무력 충돌과 갈등이 무한 반복돼온 가자지구 문제 해결책의 하나로 제시한 대통령 안을 비난부터 해서는 곤란하다는 논리다. 월츠 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 구상이 두 국가 해법의 종료를 의미하느냐”는 진행자 질문에도 “대통령은 두 국가 해법의 종언을 언급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중남미를 순방 중인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트럼프 대통령 구상에 대해 “사람들이 다시 와 살 수 있도록 미국이 개입해 잔해를 치우고 파괴된 것과 불발탄을 치우겠다는 미국의 의사를 밝힌 것”이라며 “적대적인 조치로 의도된 게 아니라 매우 관대한 조치이자 제안”이라고 강조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05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