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딥시크 차단’ 확산…정부부처 이어 금융‧증권업계도 동참
-
2회 연결
본문
금융권에서도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접속 차단에 나섰다. 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외교부 등 범정부 차원에서 딥시크 접속을 막고 있는 가운데 보안에 민감한 금융회사도 속속 동참하고 있다.
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KB금융지주와 KB국민은행은 지난 3일부터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안전성 검증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딥시크 앱 다운로드와 사이트 접속을 막았다. 망 분리 규제로 인해 내부망에서는 아예 접속이 불가능하다. 외부망을 사용하는 PC에서 챗GPT 등 다른 생성형 AI는 사용할 수 있지만 딥시크는 접속하지 못 하도록 했다.
하나은행은 지난 4일, 우리은행은 6일부터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사내 외부망이나 고객용 PC 등에서 안정성 우려를 덜 때까지 접속이 불가능하도록 조치했다. 신한은행 내‧외부망에서도 딥시크 접속은 제한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업무에 꼭 필요한 사이트가 아니면 외부망에서도 접속이 불가능하다”며 “개인정보 보호와 사이버 보안을 최우선으로 해야 하는 은행 입장에서 딥시크 접속을 풀어주긴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은 지난달 31일부터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고, 인터넷은행인 토스뱅크와 케이뱅크도 데이터 수집·학습 관련 보안성 검토가 완료될 때까지 딥시크 서비스를 쓰지 못 하도록 했다.
증권가에서도 딥시크 차단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지난달 말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는 등 내부 보안 조치를 실시했다. 지난달 말 교보증권을 시작으로 신한투자증권·대신증권·하나증권·IBK투자증권·LS증권이 딥시크 접속을 막았고, 이달 디올투자증권·iM증권·메리츠증권 등도 동참했다. 현재 차단을 검토 중인 업체도 다수 있어 딥시크 차단 은행·증권사는 계속 확대될 예정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