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김용현, 자진출석 직전 '검찰 넘버2' 통화…경호처 비화폰 썼다

본문

17388301340798.jpg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달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4차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뉴스1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해 12월 8일 검찰 특별수사본부(특수본)에 자진 출석하기 직전 검찰 수뇌부와 보안 휴대전화(비화폰)로 통화한 정황을 경찰이 확보했다. 당시 김 전 장관은 대통령경호처 비화폰을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두고 경찰과 야권에선 김 전 장관의 ‘셀프’ 검찰 출석 및 검찰의 경호처 지휘부 구속영장 반려가 두 사람 간 통화와 관련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온다.

6일 경찰 등에 따르면 국가수사본부(국수본)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참고인 조사 및 김 전 장관 휴대전화 통신 기록 확인 등 수사 과정에서 이러한 정황을 포착했다. 김 전 장관은 ‘계엄 비선’으로 지목된 민간인 신분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에게 전달했던 비화폰을 통해서 검찰 측과 통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비화폰은 도‧감청이 불가능하고, 경호처가 지급‧관리하는 보안 전화기다.

경찰은 김 전 장관이 사용한 비화폰이 경호처에서 받은 것으로 파악했다. 해당 비화폰은 김성훈 경호처 차장이 김 전 장관에게 지급하고, 김 전 장관이 노 전 사령관에게 전달하는 순이었다고 한다. 노 전 사령관은 계엄이 해제된 지난해 12월 4일 비화폰을 김 전 장관에 돌려줬지만, 김 전 장관은 같은 날 사의를 표명하면서도 비화폰을 경호처에 반납하지 않았다.

김 전 장관은 해당 비화폰으로 ‘검찰 넘버 2’ 격인 이진동 대검찰청 차장검사와 검찰 출석 직전인 7일 오후 통화를 나눴다. 김 전 장관은 이후 비화폰을 반납한 뒤 검찰에 출석했다가 긴급 체포됐고, 지난해 12월 27일 구속기소 됐다. 이날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3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 차장검사도 통화 사실을 시인했다.

17388301342487.jpg

이진동 대검찰청 차장 검사가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제3차 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뉴스1

이 차장검사는 “김 전 장관의 신병확보가 가장 중요한데, 김 전 장관이 있는 곳이 군사 보호시설 안에 있어서 사실상 영장을 받아도 집행이 어렵다”며 “수사팀에서 (김 전 장관 출석) 설득이 어렵다고 해서 제가 직접 통화해서 설득해보겠다고 한 과정이었다”고 설명했다. 김 전 장관이 당시 있던 공관이 군사상 비밀을 요하는 곳이어서 형사소송법상 책임자 승낙 없이 압수‧수색을 할 수 없는 장소인 만큼 자진 출석을 유도했단 취지다.

경찰 내부에선 불편한 기색이 역력하다. 국수본은 김 전 장관이 검찰에 출석하기 전인 지난해 12월 7일 압수수색 영장을 법원으로부터 발부받은 상태였다. 그러나 김 전 장관이 검찰과 소통한 뒤 자진 출석하면서 사실상 핵심 피의자가 없는 공간을 압수수색하게 된 셈이 됐기 때문이다. 당시 야권에서도 “김 전 장관은 체포된 게 아니라 셀프 출석한 것으로, 꼬리 자르기이며 봐주기(지난해 12월 9일,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라는 비판이 나왔다. 검찰 내 ‘특수통’으로 꼽히는 이 차장검사는 윤석열 대통령과도 대검, 서울중앙지검 등에서 근무한 연이 있다.

특히 김성훈 차장에 대한 구속영장 신청을 검찰이 두 차례 반려한 점도 주목된다. 검찰은 증거 확보 및 보완 수사 등의 이유로 경찰의 구속영장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한 경찰 관계자는 “김 차장에 대한 혐의가 충분히 소명되고, 증거인멸 우려도 상당한 데 매번 구속영장 신청을 반려하는 건 이해가 안 된다”며 “반려 사유 또한 납득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 차장검사는 국조특위에서 “김 차장에 대한 수사는 기본적으로 공무집행방해이기 때문에 별개의 사건으로, 관련해 연계하는 건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17388301344167.jpg

경찰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 3일 대통령경호처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했지만, 경호처 측의 거부로 극히 일부 자료만을 임의 제출받았다. 연합뉴스

경찰은 구체적인 진상규명을 위해선 경호처 내 비화폰 서버 압수수색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경호처는 군사상‧공무상 비밀을 요하는 장소에 대한 압수수색은 책임자의 승낙이 필요하단 형사소송법(110조, 111조)을 근거로 집행을 매번 거부 중이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21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