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트럼프 압박 또 먹혔나…美정부 선박, 파나마운하 통행료 면제

본문

앞으로 미국 정부 소유의 선박은 파나마 운하를 지날 때 통행료가 면제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취임 후 "운하 운영권을 되찾겠다"며 계속 압박하자 결국 파나마 정부가 백기 투항한 모양새다.

미 국무부는 5일(현지시간) 공식 X(옛 트위터) 계정을 통해 "파나마 정부가 더는 미국 정부 선박에 대해 파나마 운하 통행료를 부과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국무부는 이를 통해 미국 정부가 연 수백만 달러를 절감할 전망이라고 추산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 2일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이 취임 후 첫 해외 순방지로 파나마를 직접 찾은 지 3일 만에 나왔다.

17388301741045.jpg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이 3일 파나마의 파나마 시티 국제공항에서 성명을 발표하는 모습. EPA=연합뉴스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은 그간 "파나마 운하의 통제·운영은 주권 문제"라며 반발해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 한발 뒤로 물러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의 운하 환수 발언에 분노한 파나마 현지에선 트럼프의 얼굴이 그려진 사진을 불태우는 등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지만, 결국 트럼프의 의중대로 된 셈이 됐다.

이날 미 국방부도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과 물리노 대통령이 통화했다"며 "파나마 운하 방어를 포함한 안보 이익을 양국이 공유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양측은 미군과 파나마군의 협력을 늘리기로 합의했다"며 "외부 위협으로부터 파나마 운하를 공동 방어하고 양국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물리노 대통령이 헤그세스 장관에게 파나마 방문을 요청했다"고 알렸다.

17388301742711.jpg

2일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의 파나마시티 방문 반대 집회에서 시위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그려진 포스터 등을 불태우고 있다. AP=연합뉴스

1914년 개통한 파나마 운하는 미국이 파나마와 조약을 맺어 건설한 뒤 수십 년간 미국이 관리·통제했다. 그러다가 '영구적 중립성' 보장 준수 등을 조건으로 1999년 12월 31일 파나마에 운영권이 넘어갔다. 그런데 미국이 파나마 운하에서 손을 뗀 뒤, 그 자리를 중국이 꿰찼다는 게 트럼프의 시각이다.

앞서 트럼프는 지난달 7일 기자회견에서 "파나마가 미국에 과도한 운하 통행료를 부과하고 있다"며 "그들(파나마 정부)은 협정의 모든 면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운하 수리를 위해 (미국이) 30억 달러(약 4조3000억 원)를 지원해줄 것을 원한다"며 "그래서 나는 '그 돈을 중국에서 받아가지 그러냐'고 했다"고 말했다.

파나마를 자국의 일부처럼 인식하는 트럼프의 시각은 지난달 8일 뉴욕포스트가 게재한 1면 기사에 고스란히 드러났다. 매체는 트럼프가 '파나마 운하'라는 단어에 X 표시를 하고 '파나-마가(PANA-MAGA)'라고 쓴 지도를 실었다. '파나-마가'는 파나마와 '마가'(MAGA·Make America Great Again·미국을 다시 위대하게)의 합성어다.

트럼프는 지난달 20일 취임사에서 "막대한 자금을 들였고 건설 과정에서 미국인 3만8000명이 희생될 정도로 어렵게 완공한 운하를 파나마에 돌려준 것은 바보 짓"이라며 이를 환수하겠다고 밝혀 국제사회에 파문을 일으켰다.

17388301744313.jpg

트럼프는 1월 9일 트루스소셜에 8일자 미국 뉴욕포스트 1면 사진을 올리며 공감을 표시했다. 여기서 파나마 운하는 '파나-마가'로 표시되어 있다. 파나-마가(PANA-MAGA)는 파나마(Panama)와 트럼프 지지자를 의미하는 '마가(MAGA)'의 합성어다. 사진 트루스소셜 캡처

이후 루비오 장관은 지난 2일 취임 후 첫 해외 방문지로 파나마를 찾았다. 그는 중국의 영향력을 줄일 '실질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트럼프의 의중을 전달했다.

BBC는 "루비오 장관의 파나마 방문은 미국이 자국의 뒤뜰로 간주하는 지역에서 중국의 투자를 받는 국가는 용납하지 않겠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짚었다. 앞서 루비오 장관은 지난달 30일 폭스뉴스에 출연해서도 "파나마에서 분쟁·무역 전쟁이 일어나면 중국이 미 상선과 군함을 저지할 가능성이 있다"며 "중국이 파나마 운하의 교통을 방해하고 싶다면 그럴 수 있다. 그건 사실이다"고 했다. 이에 물리노 대통령은 2일 루비오와 만난 자리에서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 및 해상 실크로드) 협정을 조기에 종료하겠다"며 달래기에 나섰다.

"항구운영 홍콩계 업체 해지 검토 중"  

특히 트럼프는 파나마가 홍콩계 회사에 파나마 운하의 2개 항구 운영권을 맡긴 것이 1999년 미국과 맺은 조약의 위반 사안이라고 문제 삼았다. 중국과 연관이 있는 홍콩계 업체가 항구를 운영한다는 점이 트럼프 정부의 심기를 건드린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통신은 파나마 당국이 파나마 운하 항구 일부를 운영 중인 홍콩계 업체와의 계약 해지를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통신에 따르면 물리노 대통령이 직접 파나마 운하 5개 항구 중 2곳을 운영 중인 홍콩계 CK 허치슨 홀딩스의 자회사와 맺은 관계를 소송 없이 적법하게 중단할 수 있는지 검토 중이다. 이 회사는 2021년 파나마 당국과 연장 계약을 통해 2047년까지 운영권을 이미 확보한 상태다.

관련기사

  • 17388301745991.jpg

    캐·멕 이어 결국 꼬리내리는 파나마…美범죄자, 엘살바도르행?

  • 1738830174744.jpg

    그린란드∙파나마…트럼프의 영토 야욕, 그 뒤엔 중국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22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