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예능짤로 '오겡끼데스까' 배운 20대, &ap…
-
1회 연결
본문
![17392764826296.jpg](https://ilovegangwon.com/data/file/news/17392764826296.jpg)
탄생 30주년 영화 '러브레터'가 지난달 1일 재개봉한지 한달만에 10만 관객을 돌파했다. 사진 워터홀컴퍼니
“농담조로 말했던 ‘오겡끼데스까(お元気ですか‧잘 지내나요)’는 아련하기 그지없는 대사였구나….”(‘러브레터’ 네이버 관람평)
메가박스 단독 재개봉 '러브레터' #한달만에 10만 관객 넘어 #보고 또 본 사골국 명작, #신작 줄어든 극장 흥행 견인
탄생 30주년을 맞아 지난달 1일 재개봉한 일본영화 ‘러브레터’가 한 달 만에 10만 관객을 돌파했다. 한국에선 1999년 개봉해 이와이 슌지(岩井俊二) 감독 신드롬을 일으킨 작품이다. 영화를 단독 개봉한 메가박스에 따르면 관객 연령대 중 20대가 35%로 가장 많다. 이번이 벌써 9번째 재개봉이지만, 명장면만 알고 영화는 못 봤던 젊은 세대가 몰리면서 올해 개봉한 독립‧예술영화 중 처음 10만 관객을 돌파했다. 상영관이 100개도 안 되는 독립‧예술영화로는 큰 흥행이다. 지난해 12월 갑작스레 사망한 주연 배우 나카야마 미호(中山美穗)에 대한 추모 분위기도 관람 열기에 불을 붙였다.
‘러브레터’ 배급사 워터홀컴퍼니 측은 “처음 개봉 당시의 3만 명만 다시 영화를 봐주셔도 다행일 것이라 생각했는데, 기존 팬과 새로운 세대의 신규 팬층이 유입되며 관람 열풍의 에너지가 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25일 감독판으로 재개봉한 ‘더 폴: 디렉터스 컷’(2006)에 16년 전 극장 관람을 놓친 컬트팬이 몰린 것도 비슷한 양상이다. 연출을 맡은 타셈 감독이 최근 흥행 역주행 기념 내한까지 하며 지난 8일 재개봉 관객수가 11만명에 육박했다.
"들어는 봤는데" 검증된 구작 20대 몰린다
![17392764828077.jpg](https://ilovegangwon.com/data/file/news/17392764828077.jpg)
명대사 “카르페 디엠(carpe diem‧현재를 즐겨라, 이 순간에 충실하라)'으로 유명한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1989)도 지난달 27일 롯데시네마 단독으로 3번째 재개봉했다. 사진 롯데시네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시장 규모가 줄어든 극장가에서, 검증된 작품을 찾는 관객의 니즈에 맞춘 재개봉작 강세가 이어진다.
11일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올 1~2월 독립‧예술영화 흥행 20위 중 6편이 재개봉작이다. ‘러브레터’를 비롯해 ‘죽은 시인의 사회’(1989) ‘색, 계’(2007) ‘이터널 선샤인’(2004) 등 2번 이상 재개봉한 작품이 대다수다. 이번 달만 해도 지난달 작고한 데이비드 린치 감독의 대표작 ‘멀홀랜드 드라이브’(2001, 5일 재개봉)부터 ‘미드나잇 인 파리’(2011, 12일 재개봉) ‘500일의 썸머’(2009, 12일) ‘클로저’(2005, 18일) 등이 줄을 잇는다. 지난해 11월 아예 월간 재개봉 정규 상영 프로젝트 ‘어바웃 필름’을 신설한 멀티플렉스 CGV는 지난달 ‘색, 계’에 이어 12일 줄리아 로버츠 주연 가족영화 ‘원더’(2017)를 선보인다.
인지도를 확보해야 하는 신작과 달리, 재개봉작은 인터넷 영상이나 예능 소재로 들어는 봤지만, 영화관에서 본 적 없는 명작을 공략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관람객을 끌어들일 브랜드 파워가 절실해진 멀티플렉스 체인들도 단독 개봉작 확보와 함께 뒤늦게 알려진 미개봉 구작이나, 재개봉작을 발굴하는 경쟁이 치열하다.
'사골국' 탈피…화질 높이고 자막 손 봐
![17392764829705.jpg](https://ilovegangwon.com/data/file/news/17392764829705.jpg)
영화 '더 폴: 디렉터스컷'은 오리지널 영화 '더 폴: 오디어스와 환상의 문' 탄생 18년 만, 오리지널 개봉 기준으론 16년만의 4K 디지털 복원으로 더 화려한 영상, 새로운 장면을 추가한 감독판이다. 사진 오드
이미 수차례 재개봉, 특별 상영 등으로 ‘사골국’ 소리를 듣는 단골 재개봉작도 많다 보니, 이를 탈피하기 위해 최근엔 이미 영화를 본 관객도 다시 볼 만한 가치를 느낄 만큼 업그레이드에도 힘쓰는 추세다. ‘더 폴’은 기존 개봉 판에 없던 영화제 버전 일부 장면을 다시 삽입하고, 4K 리마스터링으로 화질을 높였다. 지난해 12월 CGV가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1부’를 4DX로 재개봉한 것처럼, 오리지널 개봉 땐 없던 특수 상영관과 결합한 재개봉도 주목받는다.
‘러브레터’는 그간 팬들에게 지적 받은 자막 의역 및 오역을 원작 의도에 맞게 수정했다. 엔딩신에서 ‘가슴 아파서 이 편지는…’이라고 번역된 자막을 원문에 맞게 ‘부끄러워서 이 편지는…’으로 고친 게 한 예다. 또 1990년대 개봉 당시 세로 자막을 복원한 복고풍 화면도 호응을 얻었다.
신작 없어 극장 '텅' 재개봉 계속될 것
영화계에선 신작 공급이 줄어든 것도 재개봉이 많아진 요인으로 짚는다. 한 외화 수입‧배급 관계자는 “재개봉작이라도 극장으로 관객을 유입할 수 있다면 다행”이라 말했다. 또 다른 극장 관계자는 “신작 라인업이 없어서 텅텅 빈 극장들이 살아나려는 자구책”이라며 “각 극장의 콘텐트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재개봉 추세는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17392764831321.jpg](https://ilovegangwon.com/data/file/news/17392764831321.jpg)
양조위, 탕웨이 주연 영화 ‘색, 계’(2007)는 지난달 1일 CGV 월간 재개봉 프로젝트작에 선정돼 재개봉했다. 사진 CGV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