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3말 아닌 3초? 헌재, 尹 탄핵심판 조기 종결 논란

본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의 결론이 당초 전망됐던 3월 말보다 앞당겨진 3월 초에 나올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헌법재판소가 지난 11일 7차 변론기일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이경민 방첩사령관 직무대리에 대한 윤 대통령 측 증인 신청을 기각한 데 이어 13일 8차 변론 이후 추가 변론기일도 지정하지 않고 있어서다.

헌재는 7차 변론에서 한 총리와 이 직무대리 증인 신청을 “필요성이 부족하다”며 기각했다. 윤 대통령 측이 추가 신청한 강의구 대통령비서실 1부속실장, 신용해 법무부 교정본부장, 박경선 전 서울동부구치소장 증인 채택은 “평의에서 논의하겠다”고만 밝혔다. 헌재는 채택한 증인 15명 중 4차(1명)·5차(3명)·6차(3명)·7차(4명) 변론까지 11명에 대한 신문을 마쳤다. 13일 조태용 국가정보원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 조성현 수도방위사령부 1경비단장에 대한 증인신문을 한다. 건강상의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낸 조지호 경찰청장 신문은 하지 않기로 해 채택한 증인신문은 이날 끝난다.

헌재가 강의구 실장 등 3명에 대해 증인 채택을 하더라도 18일 9차 변론 한 번이면 마칠 수 있다. 지금까지 하루 최대 4명까지 증인신문을 해왔기 때문이다.

이후 국회 측과 윤 대통령 측 최후진술을 듣기 위해 10차 변론기일을 20일 목요일로 잡더라도 이론상 다음 주에 모든 변론을 마칠 수 있다.

변론이 종결되면 통상 2주 내에 선고기일이 열린다. 박근혜·노무현 전 대통령은 각각 최종 변론기일 후 11·14일 만에 선고했다. 이 같은 전례와 현재 윤 대통령 탄핵심판 일정 추세를 고려하면 3월 초 선고가 가능하다.

권성동, 헌재 항의 방문 “신속 선고, 정치적 편향성 드러낸 것”

지난해 12월 14일 탄핵소추 후 약 80일 만이다. 박근혜(91일)·노무현(63일) 전 대통령 탄핵심판 소요 기간의 중간쯤이다.  헌재의 속도전 움직임을 놓고 장영수 고려대 로스쿨 교수는 “윤 대통령이 직접 출석해 법리 다툼을 활발히 벌이는 점, 절차적 흠결 논란이 큰 점 등을 고려하면 이전 탄핵 사건 일정과 단순 비교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은 이 같은 헌재 움직임이 조기 대선과 직결된다고 보고 거세게 반발했다. 권성동 원내대표 등 의원들은 12일 헌재를 항의 방문해 “헌재는 윤 대통령 탄핵소추를 다른 사건에 우선해 신속하게 처리하겠다고 했다”며 “무조건 우선 처리하겠다는 것 자체가 정치적 편향성을 드러낸 것”이라고 비판했다.

법조계에선 헌재가 탄핵심판 진행 속도를 법원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항소심 속도에 연계해 조절하는 게 아닌가란 해석도 나오고 있다. 유력한 대선후보인 이 대표는 1심에서 의원직 및 피선거권 박탈에 해당하는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받았는데, 3월 중순~말께 항소심 선고가 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이후 한두 달 내에 대법원 판결로 형이 확정되면 대선 출마가 불가능해지므로 조기 대선이 앞당겨질수록 이 대표에겐 유리해지는 구도다. 헌재가 다음 달 초 윤 대통령 파면을 선고할 경우, 대통령이 파면되면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거한다는 헌법 규정에 따라 조기 대선은 5월 초 실시하게 된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31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