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조태용 “‘홍장원 메모’ 4 버전 있다”…尹, 18분간 “홍 못믿는다”

본문

17394239790926.jpg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회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조태용 국정원장이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의 진술 및 ‘홍장원 메모’에 대해 “사실과 달라 믿을 수 없는 내용이며, 홍 전 차장의 정치적 중립 문제가 누적돼 해임시킨 것”이라고 주장했다. 13일 오전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8차 변론에서다.

윤 대통령도 이날 오전 재판 말미에 약 18분간 ‘홍장원의 말은 믿을 수 없고 사실이 아니다’는 취지의 주장을 폈다. “국정원 직원 해임 이유는 외부에 밝힐 순 없지만 그 전부터 정치적 중립 문제가 많이 있었고 국정원장의 신임을 잃은 상태였다고 해서 해임 건의를 곧바로 재가했다”며 “홍 차장에게 전화해서 뭘 시켰다고 하는데 그건 격려전화였을 뿐, 내가 켕길 일이 있었다면 그렇게 바로 해임시키지 못했을 것”이라고 하면서다.

조 원장도 앞서 신문에서 홍 전 차장을 해임한 데 대해 “지난해 여름 국회에서 한 의원이 ‘홍장원이 인사청탁을 7번 했다’고 말했을 때부터 고려했고, 비상계엄 이후 홍 전 차장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전화를 해야 한다’고 말한 것 등을 합쳐 정치적 중립 의무 위반이라 생각해 조치했다”고 밝혔다.

조 원장은 다만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이 홍 전 차장의 증인신문 이후 “조태용 국정원장이 미국에 가 있는 줄 알고 홍 전 차장에게 전화해서 국정원의 평소 업무를 잘 챙기라고 전화한 것”이라며, 자신이 홍 전 차장에게 전화해 ‘방첩사를 잘 도우라’고 발언한 것이 주요 정치인‧법조인 체포를 도우라고 지시한 게 아니라고 주장한 것과 배치되는 진술을 했다.

조 원장은 “비상계엄이 있던 지난해 12월 3일 저녁 대통령에게서 전화가 와서 어디냐고 하시길래 ‘여기입니다’라고 답을 했고, 이후 ‘미국 안 가셨어요?’라고 물으시길래 ‘내일 떠납니다, 방금 미국 대사와 송별 만찬을 했습니다’라고 답했고 알겠다며 끊으셨다”고 진술했다. 조 원장은 “수사기관에서도 동일한 취지의 진술을 했고, 지난 4일 헌재 변론에서 (윤 대통령이) 말씀하시는 것도 봤지만, 당시 경황이 없어서 ‘여기입니다’를 듣고 뒷부분은 주의깊게 듣지 않았을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다”고도 했다. 윤 대통령은 이에 대해서도 “조 원장이 그날 통화로 말한 것과 대통령실에서 얘기한 것을 뒤섞은 것 같다”고 주장했다.

조태용 “확인해보니 홍장원 메모 4개 버전… 알려진 건 4번째”

17394239792531.jpg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 12?3 비상계엄 당일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에게 듣고 작성했다는 메모. 홍 전 차장은 위의 ‘체포 대상자’는 보좌관이 다시 썼고, 아래 흘려 쓴 글씨는 본인이 적은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포토

조 원장은 지난 4일 홍 전 차장의 헌법재판소 증인신문을 본 뒤, 자신의 증인신문을 앞두고 “소위 ‘홍장원 메모’로 알려진 메모의 작성 과정과 사실관계를 확인해왔다”며, “메모에는 총 4가지 버전이 있었고, 지금 알려진 메모는 4번째 메모”라고 설명했다. 조 원장에 따르면 홍 전 차장이 지난해 12월 3일 오후 11시 6분에 썼다는 첫 메모는 포스트잇에 적혀 있었으며(메모①), 이 메모를 보좌관에게 주며 정서를 부탁해 보좌관이 다시 바르게 썼고(메모②), 다음날 오후에 ‘어제 메모를 기억을 더듬어서 다시 써 달라’고 홍 전 차장이 요청해 보좌관이 다시 기억을 더듬어 사람이름 및 직함 등을 섞어 썼으며(메모③), 여기에 보좌관이 쓰지 않은 글씨가 추가로 쓰인 버전이 홍 전 차장이 “내가 추가로 썼다”고 말하는 최종 버전(메모④)이라고 했다.

조 원장은 “보좌관에게 물어보니, (비상계엄 선포 당일인) 3일 밤엔 이름이 적힌 포스트잇을 줘서 그걸 가지런히 옮겨썼고, 4일 오후에 ‘너 기억력 좋지 다시 써서 줘봐’라고 하길래 사람 이름을 다 기억하지 못해 ‘딴지일보’ ‘헌법재판관(이후 대법관으로 고쳐 씀)’ 등 직함도 섞어 쓰고, ‘정청래’도 ‘정창래’로 잘못 쓰고 그랬다고 한다”며 “메모①은 홍 전 차장이 ‘찢어서 버렸다’고 했고, 메모②는 보좌관도 어디 있는지 모르겠다고 하고 메모③은 홍 전 차장에게 넘겨줘서 지금 널리 알려진 ‘홍장원 메모’(메모④)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조 원장은 “홍 전 차장이 첫 메모를 제 공관 앞에서 썼다고 하길래 CCTV를 확인해봤더니, 그 시간은 청사 내 홍 전 차장의 사무실에 있던 때라 사실관계가 다르다”고 설명했다.

“‘李‧韓 잡으러 다닐수도’ 뜬구름 잡는 소리라 생각했다”

조 원장은 홍 전 차장이 3일 밤 ‘윤 대통령에게서 전화로 방첩사를 도우라는 지시를 받았고, 방첩사가 오늘 밤 이재명·한동훈 등을 잡으러 다닐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고 보고한 사실은 시인했지만, “묵살한 게 아니라 그런 일이 생길 것 같지 않아서 ’아침 회의 때 얘기하자’고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방첩사를 도우라’는 말은 안보실장일 때부터 여러 차례 들은 말이라 늘 듣던 대로 말씀하셨구나 했지, 제 입장에선 그 말을 ‘이재명‧한동훈’ 이름과 연결시킬 수 없었다”며 “뜬구름 잡는 얘기라고 느꼈다, 제가 알아듣게 보고했으면 좋았을 것 같다”고 말했다.

증인신문 말미에는 재판관들이 12월 3일의 국무회의와 지난해 3월 있었던 ‘안가 회동’에 대해 조금 더 캐물었다. 조 원장은 “지난해 3월 회동에서 저는 ‘비상’ ‘계엄’등은 기억하지 못하고, 그 이후로는 그런 모임을 가진 적이 없다”며 “12월 3일 국무회의에선 모인 국무위원들이 다 걱정하는 취지로 말했고, 저는 대통령과 독대하진 않았지만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대통령을 뵈러 갈 때 따라 들어가서 (계엄을) 하시지 말도록 말씀을 드렸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35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