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국 대기업 임금, 22개국 중 5위…일본·EU보다 많아

본문

한국 대기업 임금 수준이 일본이나 유럽연합(EU)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도 한국이 컸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16일 발표한 ‘한·일·EU 기업 규모별 임금수준 국제비교’에 따르면 한국 대기업의 연 임금총액(초과급여 제외)은 8만7130달러(2022년 구매력평가환율 기준)로 조사됐다. 분석 대상 22개국(한국, 일본, EU 20개국) 중 5위였다. 룩셈부르크·독일·프랑스·아일랜드가 한국보다 임금총액이 높았다. EU 20개국 평균(8만536달러)보다 8.2%, 일본 대기업(5만6987달러)보다 52.9% 높았다.

각국의 경제 상황을 고려한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임금 수준은 한국이 156.9%였다. EU 평균(134.7%)과 일본(120.8%)보다 각각 22.2%포인트, 36.1%포인트 컸다. 22개국 중에선 그리스(166.7%)와 프랑스(160.6%)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지난 20년(2002~2022년)간 대기업 임금 인상률도 한국이 상대적으로 컸다. 해당 기간 한국 대기업 인상률은 157.6%(2741만원→7061만원)로, EU 평균(84.7%)이나 일본(-6.8%)보다 높았다. 반면 한국 중소기업은 대기업 임금 상승을 따라가지 못했다. 한국의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임금은 2022년 기준 57.7%로, 일본(73.7%)이나 EU 평균(65.1%)보다 작았다. 한국 중소기업의 연 임금총액은 5만317달러로, 22개국 중 10위였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한국 대기업 임금이 최상위 수준인 것은 연공형 임금체계와 강력한 노조로 인한 생산성을 초과한 일률적 임금 상승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며 “직무와 성과에 기반한 임금체계로 시급히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57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