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우리은행 정규리그 V15…그 중심엔 위성우·김단비

본문

173971921869.jpg

우리은행 에이스 김단비가 우승 트로피를 들고 환호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시즌 전 약체로 평가받았지만, 위성우 감독의 리더십이 빛을 발하며 통산 15번째 정규리그 우승을 확정했다. [연합뉴스]

아산 우리은행이 2024~25시즌 여자프로농구 정규리그 우승을 확정했다. 시즌 전 약체로 평가받았던 터라 더욱 감격스러운 우승이다.

위성우 감독이 이끄는 우리은행은 16일 청주체육관에서 열린 정규리그 원정경기에서 청주 KB를 46-44로 물리쳤다. 이날 승리로 21승 8패의 우리은행은 2위 부산 BNK(18승 10패)와 격차를 2.5경기로 벌리며 남은 최종전 결과와 상관없이 우승을 결정지었다. 2022~23시즌에 이후 2년 만에 정규리그 정상에 오른 우리은행에는 통산 15번째 우승이다. 이 역시 역대 최다다.

지난 시즌 정규리그를 2위로 마친 뒤, 챔피언 결정전에서 우승한 우리은행은 이번 시즌 개막을 앞두고는 우승은커녕 플레이오프(PO)행도 장담할 수 없는 전력이었다. 지난 시즌 우승 뒤 사실상 ‘공중분해’급 전력 누수를 겪었기 때문이다.  박지현(마요르카), 박혜진(BNK), 나윤정(KB·이상 가드), 최이샘(신한은행·포워드) 등 주전급 선수들이 경쟁 팀으로 이적했다. 에이스 김단비(포워드)만 남았다. 우리은행의 반전 드라마를 이끈 건 위 감독의 마법 같은 팀 운영과 리더십이었다. 선수 영입부터 비시즌 훈련, 리그 경기 운영으로 열세를 뒤엎고 우승했다.

센터 없이 가드 중심의 빠른 농구를 펼쳤던 위 감독은 심성영(전 KB·가드)과 한엄지(전 BNK·포워드)를 급하게 영입했다. 아시아 쿼터 선수로 스나가와 나츠키, 미야사카 모모나(이상 일본·가드)를 데려왔다. 모두 “한물갔다”는 평가와 함께 식스맨(후보)으로 밀린 선수들이었다. 위 감독은 개막 전 “즉시 전력감을 이적 시장에서 데려오는 것이 어렵다. 대신 재기 가능성 높은 선수들을 찾아 능력을 끌어내는 방법을 찾겠다”고 말했다. 이런 전략이 들어맞은 것이다.

시즌 전 ‘지옥 훈련’을 견디고 우리은행 특유의 ‘우승 DNA’를 이식받은 이적생들은 시즌 시작되자 전성기 못지않은 실력을 뽐냈다. 김단비는 22.2득점, 11.1리바운드, 스틸 2.2개, 블록슛 1.5개, 공헌도 931.1점(이상 전체 1위·15일 기준) 등 공·수 거의 전 부문에서 선두를 달리며 리더 역할을 했다. 부상과 체력 저하가 두드러졌던 후반기에는 신인 이민지를 기용해 공백을 메우는 위 감독 용병술이 다시 한번 빛을 발했다. 이민지는 최근 9경기에서 평균 12득점으로 김단비를 지원사격 하며 ‘괴물 신인’ 소리를 들었다.

시즌 중반까지 2~3위를 오가던 우리은행은 막판에 BNK를 제치고 선두로 올라섰다. 우리은행은 최근 9경기에서 8승 1패의 집중력을 발휘하며 우승을 확정했다. 위 감독은 “그동안 좋은 멤버 덕에 편하게 감독을 했다. 선수들이 대거 이적하면서 시련이 왔는데, 정말 힘들었다”며 “김단비를 중심으로 선수들이 믿고 따라와 줘서 고맙다”고 말했다. 도전은 끝나지 않았다. PO에 진출한 우리은행은 통산 11번째 통합 우승에 도전한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57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