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트럼프 진짜 때렸다…캐나다·멕시코 25% 관세, 중국엔 총 20%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공언한 대로 4일(현지시간)부터 캐나다·멕시코 제품에 대한 25%의 신규 관세가 발효됐다. 또 같은 시각부터 중국에 대해서도 10%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기로 했다. 지난달 중국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는데 여기에 10%를 더해 총 20%의 추가 관세가 부과되는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부터 적용하기로 한 상호관세 역시 예정대로 시행한다고 확인하며, 외국산 농산물에 대한 관세도 이날부터 부과할 것이라고 새롭게 예고했다. 국가별·품목별 관세폭탄을 동시다발적으로 투하하는 형국이다. 특히 미국의 동맹국이자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인 캐나다에 고율의 관세가 부과되면서 같은 입장의 한국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트럼프는 당초 지난달 4일부터 캐나다·멕시코에 관세 25%를 매기고 중국에는 기존 관세에 추가로 10%를 더 부과하겠다고 했었다. 그러나 캐나다·멕시코가 불법 이민, 마약 유입을 막기 위한 국경 단속 강화 조치를 내놓자 1개월 유예하고 중국에 대해서만 10% 추가 관세 부과를 적용했다. 이와 관련,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CNN에 “(캐나다·멕시코는) 국경에서 잘해 왔지만 펜타닐 문제에 대해 충분한 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백악관은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 배경과 관련해선 “펜타닐은 현재 18~45세 미국인의 사망 원인 1위며, 그 원료는 중국에서 만들어진다”고 했다.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는 3국 자유무역협정에 따라 기존 교역 물품에 대부분 무관세를 적용해 왔는데, 트럼프의 조치로 3국 간 관세전쟁 발발이 현실화했다. 멕시코에 생산기지를 두고 USMCA를 이용해 무관세로 미국에 제품을 수출해 온 삼성전자·LG전자·기아·현대모비스 등 400여 개 한국 기업에도 타격이 예상된다. 미국 수입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고율 관세가 부과되면서 북미권 경제에 상당한 충격이 예상된다. 채드 바운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미국의 평균 관세율은 1940년대 이후 볼 수 없었던 수준으로 올라갈 것”이라며 “북미 지역 공급망에 큰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고 뉴욕타임스에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90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