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막처럼 변한 산…토양 복구에 100년 걸린다
-
2회 연결
본문
경남과 경북을 중심으로 전국 곳곳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의 영향 구역이 역대 최대인 4만8239㏊를 기록한 것으로 31일 집계됐다. 산림청과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이번 산불 피해 지역의 산림이 회복되는 데는 최소 30년, 토양 복구까지는 100년 넘게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산불이 발생하고 나면 산림 생태계 전체가 급속하게 황폐해지기 때문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이 2023년 발표한 ‘산불피해지 복원의 주요 연구결과와 미래방향’에 따르면 산불 이전 수준으로 산림 생태계가 회복되려면 어류는 3년, 물에서 생활하는 수서동물 9년, 곤충은 14년 걸렸다. 포유류는 20년이 지난 후에도 산불 이전보다 81~86%, 조류는 62~72% 수준에 머물렀다.
토양은 숲 생태계의 순환 속에서 동물과 미생물의 활동을 통해 형성됐기 때문에 더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사막처럼 변한 산불 피해지가 산림의 형태를 갖추는 데만 30년 이상, 생태적 안정 단계에 이르기까지 100년 이상 걸렸다.
남성현 전 산림청장은 “산불이 나면 피해 지역 토양은 사실상 사막처럼 변해 복귀되는 데 100년이 걸린다. 미생물이 다 죽어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재선충병 등 각종 병충해의 온상이 될 수 있다”며 “비가 내려 산불 피해 지역의 정수 처리 안 된 토양이 해안가 저수지로 쓸려가면 어족 자원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나무와 낙엽이 불에 타 사라졌기 때문에 비가 조금만 와도 토사가 유출돼 산사태와 홍수 같은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2차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우선 산불 발생 당해 연도 장마철 이전에 사방(砂防) 복구 사업을 해야 한다.
산불 피해 나무의 피해 강도를 ‘심(深)·중(中)·경(輕)’으로 분류해 살릴 수 있는 나무는 살려야 한다. 심의 경우 나무의 잎과 가지가 시커멓게 탄 것을, 중은 잎 전체가 갈변한 상태를, 경은 불이 스치고 지나가 대부분이 푸른 것을 말한다. 이어 6대 산림 기능을 회복할 수 있게 체계적인 조림도 필요하다. 6대 산림 기능은 생활환경보전림, 자연환경보전림, 수원함양림, 산지재해방지림, 산림휴양림, 목재생산림 등이다.
강원석 목포대 원예산림학부 교수는 “이번 산불은 피해 면적이 넓고 지역마다 특성이 달라 맞춤형 복원 계획이 수립될 가능성이 높다”며 “예컨대 바람이 빠르게 지나간 지역은 살릴 수 있는 피해 강도가 경인 나무가 많을 텐데 이런 논의가 빠르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른 시일 내에 이해관계자들이 만나 복원 관련 협의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