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선관위원장 "부정선거 불가"…CCTV 24시간 공개하고 이들 부른다

본문

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이 9일 “일각에서 주장하는 부정선거는 발생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노 위원장은 이날 대국민담화에서 “계엄 뒤 최근까지 4개월 넘는 기간 우리나라는 진영 간 극심한 갈등이 부정선거 주장과 맞물려 큰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며 “수많은 부정선거 소송이 대법원에서 근거 없다고 밝혀졌는데도 계속되는 이런 주장에 안타까운 심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모든 공직선거엔 전국 3000여명 선관위 직원 외에도 지방자치단체 및 국가 공무원, 공공기관 직원, 학교 교직원, 일반 국민까지 30만 명 넘는 외부 인력이 투개표 사무원으로 참여한다”며 “이처럼 수많은 인력이 관여하기에 일각에서 주장하는 것과 같은 부정선거는 발생할 수 없다”고 했다.

17441832807723.jpg

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이 9일 경기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관련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고 있다. 뉴스1

24시간 CCTV 공개…“승복해달라”

노 위원장은 또 “엄중한 상황 속 치러지는 이번 선거 의미를 무겁게 인식하고 헌법으로부터 부여받은 책무를 다해 엄정하고 공정하게 관리할 것”이라며 “짧은 기간이지만 비상한 각오로 철저한 준비를 통해 국민 뜻이 선거 결과에 오롯이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노 위원장은 선거 결과에 대한 승복도 당부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매우 심각한 정치적·사회적 갈등과 혼란을 겪고 있다”며 “그럼에도 선거 결과에 승복하는 건 민주주의 국가에서 가장 기본적인 약속이다. 정당·후보자뿐만 아니라 국민도 선거 결과를 존중하고 승복해달라”고 했다.

17441832809227.jpg

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과 위원들이 지난 7일 경기도 과천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전체회의를 하고 있다. 뉴스1

중앙선관위는 이번 대선에서 사전투표함 보관 장소에 CCTV를 설치해 24시간 공개하고, 기계로 센 투표지를 한 번 더 손으로 세는 수검표를 도입할 계획이다. 보관 장소 CCTV 공개는 2023년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때 처음 도입해 지난해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때 전국으로 확대 시행됐다. 수검표는 자동 투표지분류기가 도입된 2002년 지방선거 때 사라졌다가 지난 2020년 제21대 총선 때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되면서 투표용지가 길어지자 다시 시행됐다. 역대 최다 38개 정당이 참여한 제22대 총선 때도 수검표가 시행됐다.

중앙선관위는 추가로 ‘공정선거참관단’도 운영해 투명성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정치 학회 주도로 구성한 각계 인사들이 사전투표, 투표, 개표 등 선거 절차 현장을 참관한다. 10일에는 언론인 상대로 투개표 절차에 대한 공개 시연회도 개최한다. 중앙선관위는 또 선거가 끝난 후에도 관련 소송이 제기되거나 국회 차원의 서버 검증 요구가 있다면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36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