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울산항만공사-한국해사협력센터, 바이오선박유 상용화 간담회
-
1회 연결
본문

바이오선박유 간담회
해양수산부가 주최하고 울산항만공사(UPA), 한국해사협력센터(KMC)가 공동 주관한 바이오선박유 상용화를 위한 관계기관 간담회’가 23일 서울 중구에 소재한 PJ호텔 카라디움홀에서 개최됐다.
이날 간담회에는 바이오선박유 등 친환경 선박연료 수요 급증에 대비하기 위해 해운선사 · 에너지기업 · 탱크터미널 · 조선 및 기자재업계 · 금융기관 등 산업계 관계자 30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2050년 국제해운 탄소중립의 신호탄이 될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감축 중기조치가 지난 11일 승인됨에 따라 국내 해운 · 항만분야는 환경규제 대응 역량을 더욱 강화하고 바이오선박유의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간담회의 첫 번째 세션은 ‘사용자 관점에서의 바이오선박유 사용의 주요 현안’을 주제로 진행됐다.
첫 연사인 KMC 황대중 팀장은 제83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83) 주요 내용을 발표했고, 두 번째 연사인 HMM 서대식 책임은 바이오선박유 사용 시 품질, 비용, 안정성 등 운용상의 고려사항을 설명하며 향후 안전운용 지침 마련 및 경제성 확보를 강조했다.
이어 지마린서비스의 장민국 책임은 바이오선박유(B100) 사용 현황 및 애로사항에 대한 발표와 한국석유관리원 전철환 팀장의 선박용 바이오디젤 · 중유 실증 현황에 대한 설명으로 첫 세션이 마무리됐다.
두 번째 세션은 ‘공급자 관점에서의 바이오선박유 주요 이슈’를 주제로 진행됐다.
첫 연사로 나선 울산항만공사 김병구 부장의 울산항 중심 국내 바이오선박유 활성화 추진 방향 발표에 이어, DNV 임재훈 수석검사관은 바이오 선박 시장 전망에 대해 발표했다.
세 번째 연사인 HD한국조선해양 서재엽 팀장은 선박 엔진 제조사의 관점에서의 바이오선박유 사용 현황 및 향후 연료 확대 계획에 대해 그동안의 실증 사례를 토대로 발표하며 참석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고, 현대퓨엘스 홍율경 수석은 국외 선박연료 시장 및 벙커링 동향을 발표해 선박연료 시장 분위기에 대한 참석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마지막 세션은 ‘국내 바이오선박유 상용화를 위한 당면과제 및 향후 협력’을 주제로 진행됐으며, KMC 김민규 실장이 좌장을 맡아 패널토의 및 질의응답을 진행하며 참석자들과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울산항만공사 변재영 사장은 “국제해사기구의 환경규제가 본격화되면서 국내 해운업계는 대체연료 도입을 적극 고민해야하는 시점에 와 있다”며, “바이오선박유는 신조선 건조나 개조 없이도 즉시 활용 가능한 현실적인 대안인 만큼,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항만 중심의 바이오선박유 공급망을 활성화하고, 경쟁력 있는 친환경 선박연료 시장을 조성하는 데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국해사협력센터 홍순배 센터장은 “선박의 친환경 대체연료 전환이라는 과도기적 시점에서 해운선사와 대체연료 산업 간의 유기적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졌다”고 강조하며, “앞으로 이번 간담회와 같은 산업 간 소통의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하여 국제 규제가 오히려 국내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의 기회가 되도록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