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비수기에 7.4조…SK하이닉스 ‘42% 남는장사’

본문

주요기업 1분기 실적 보니

SK하이닉스가 1분기 영업이익 7조원을 넘겨 시장 전망을 뛰어넘은 실적을 냈다. 걱정했던 관세 폭풍과 ‘딥시크 충격’이 도리어 호재로 작용했고, 고대역폭메모리(HBM)에 힘입어 영업이익률 42%를 기록했다.

17455079514135.jpg

정근영 디자이너

24일 SK하이닉스는 지난 1분기에 매출 17조6391억원에 영업이익 7조4405억원을 올렸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은 42%, 영업이익은 158% 늘었다. 창사 이후 최대 실적이었던 직전 분기보다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1%, 8% 감소했으나 영업이익률은 1%p 더 높아졌다(41%→42%). D램과 낸드 메모리 출하량은 각각 10%, 20%가량씩 줄었으나, 고부가가치 제품인 HBM과 DDR5가 여전히 잘 팔린 덕분이다.

당초 증권가에서는 SK하이닉스 영업이익을 6조원 대로 전망했다. 1분기는 메모리 산업의 계절적 비수기인 데다가,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폭풍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태였다. 그러나 SK하이닉스 영업이익은 시장 전망을 1조원가량 뛰어넘었다.

관세 불확실성 때문에 미리 메모리를 사두려는 수요도 있었다. 김규현 D램 마케팅 담당은 “글로벌 고객들은 전반적으로 협의 중이던 메모리 수요를 변함없이 유지하고 있으며, 일부 고객은 단기적으로 공급을 당겨 달라는 움직임도 있었다”고 말했다.

지난 15일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 저사양 그래픽처리장치(GPU)인 H20의 중국 수출을 제재한다고 밝혔다. 엔비디아 HBM의 주 공급사인 SK하이닉스에 미칠 영향도 우려도 제기됐다. 그러나 이날 김기태 HBM 세일즈&마케팅 담당은 “HBM 사업에 대해 분명하게 말씀드릴 수 있는 부분은 올해 주요 고객사로 판매 계획은 기존 체결한 계약 수준에서 변동이 없다는 점”이라고 못박았다.

현대차는 ‘환율 효과’와 친환경차 판매 호조에 힘입어 역대 1분기 최대 매출 기록을 세웠다. 24일 현대차는 지난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44조4078억원, 영업이익 3조633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40조6585억원) 대비 9.2% 늘어 역대 1분기 최대 매출 기록을 경신했다. 매출 증가분 3조749억원 가운데 2조590억원(54.9%)이 원화 값 하락에 따른 해외 판매 대금 증가 효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3조5574억원) 대비 2.1% 늘었지만, 2023년 1분기 실적(3조6423억원)엔 못 미쳤다.

HD한국조선해양도 이날 1분기 영업이익 8592억원으로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다. 전년 동기(1602억원) 대비 436.3% 증가한 수치다. 회사는 큰 폭의 영업이익 증가 핵심 요인으로 ‘생산성 향상’을 꼽았다. 미국의 대(對)중국 견제 정책으로 회사가 챙길 수 있는 반사이익은 톡톡히 챙기겠다는 전략도 밝혔다.

철강업계는 1분기 실적 감소를 피하지 못했다. 포스코홀딩스는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7조4370억원, 영업이익 5680억원을 기록했다고 이날 밝혔다. 지난해 1분기보다 3.4%, 2.5% 줄어든 수치다. 현대제철은 올해 1분기 매출 5조5635억원, 영업손실 190억원, 당기순손실 544억원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6.5% 감소했고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모두 적자 전환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264 건 - 1 페이지